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js22

배열안에 원하는 값을 찾아서 반환하기 문제 설명 String형 배열 seoul의 element중 Kim의 위치 x를 찾아, 김서방은 x에 있다는 String을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seoul에 Kim은 오직 한 번만 나타나며 잘못된 값이 입력되는 경우는 없습니다. 제한 사항 seoul은 길이 1 이상, 1000 이하인 배열입니다. seoul의 원소는 길이 1 이상, 20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Kim은 반드시 seoul 안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입출력 예 seoulreturn [Jane, Kim] 김서방은 1에 있다 나의 코드 function solution(seoul) { for (let i = 0; i < seoul.length;i++){ if (seoul[i] === "Kim") return "김서방은 " + i.. 2020. 10. 23.
반복적인 작업을 하는 여러가지 방법 첫번째는 대부분의 작업에 사용하는 for 문이다 for (초기;조건;증감){ 작업 } 초기 : 어디서 부터 시작할껀가? 조건 : 어디서 중단할껀가? 증감 : 얼마 만큼 증가하거나 감소 할껀가? 이런느낌이고 작업 : 이쪽에는 반복적인 작업을 해야하는것을 넣어주면 된다 두번재는 while 문이다 for 문 처럼 많이 사용하지는 않고 몇번 반복될지 모를때 사용한다 let i = 0 while(조건){ 명령 } while 문은 for문과는 다르게 초기가 없고 조건 명령 밖에 없다 명령 안에 증감도 써줘야함 세번째는 재귀함수다 재귀함수는 자기 자신을 계속 호출해서 반복적인 작업을 하는 것이 재귀함수이다 그럼 일단 간단하게 하나의 예제를 만들어 보겠다 function fac(n){ if(n === 1 || n ==.. 2020. 10. 22.
문자열 찾기 문제 설명 문자열 s의 길이가 4 혹은 6이고, 숫자로만 구성돼있는지 확인해주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 들어 s가 a234이면 False를 리턴하고 1234라면 True를 리턴하면 됩니다. 제한 사항 s는 길이 1 이상, 길이 8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입출력 예 sreturn a234 false 1234 true 간단한 코드 function solution(s){ if (isNaN(s) === true){ return false } else { return true } } 일단 isNaN이라는 걸로 NaN이 나오는 매개변수를 false로 돌리고 나머지를 true로 둔다 하지만 몇몇 검사에서는 실패가 나오니 정확하지 않는 코드이다 정확한 코드를 찾아 보았다 function solutio.. 2020. 10. 21.
두정수사이의합 문제 설명 두 정수 a, b가 주어졌을 때 a와 b 사이에 속한 모든 정수의 합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 들어 a = 3, b = 5인 경우, 3 + 4 + 5 = 12이므로 12를 리턴합니다. 제한 조건 a와 b가 같은 경우는 둘 중 아무 수나 리턴하세요. a와 b는 -10,000,000 이상 10,000,000 이하인 정수입니다. a와 b의 대소관계는 정해져있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abreturn 3 5 12 3 3 3 5 3 12 나의 코드 function solution(a, b) { let sum = 0 if (a < b){ for (let i = a; i 2020. 10. 21.
for 문에 대해서 알아보자 for 문은 반복문으로써 초기문 , 조건문 , 증감문 식으로 진행된다 for (let i = 0; i < 10; i++){ 명령 } 처음 동작 할때 i는 변수 선언을 했고 i에 0을 대입 했으니 i는 현재 0이다 그 다음으로 넘어가면 조건문으로 넘어간다 현재 i는 0이므로 i는 10보다 작으니 참이 된다 참이므로 명령으로 넘어가고 명령이 동작을 하면 다음으로 넘어갈것은 증감문이다 현재 증감문은 i++ 했으니 1씩 증가가 된다 그 다음으로 초기문으로 돌아와서 i는 증감문에서 1이 증가 되었으니 i는 현재 1이다 이해가 안된다면 그림으로 보자 처음에 이런식으로 1,2,3,4 순서대로 작동을 한다 1. 초기문 2. 조건문 3. 명령문 4. 증감문 계속 작동을 하다가 i 가 10 까지 왔다고 가정을 해보자 그러.. 2020. 9. 20.
if , else if , else를 알아보자 조건문은 조건이 참일 때 실행되는 것을 조건문이라고 한다 거짓이면 넘어가게 됨 if ( 조건 1) { 명령문 } if문 같은 경우에는 조건 1이 참일 때 명령문이 실행되는 구조이다 else if 같은 경우에는 if로 한번 조건을 만들어주고 거짓으로 통과된 경우에 else if를 사용해서 한번 더 조건을 추가하는것이다 if (조건1) { 명령1 } else if (조건2) { 명령2 } 이런 식으로 적용을 할 수가 있다 조건이 여러 가지인 경우 else if로 한번 더 걸러주는 역할이다 그래도 조건이 많다면 else if를 중첩해서 사용이 가능하다 else 같은 경우는 조건문이 없다 바로 명령문으로 넘어간다 if (조건1) { 명령1 } else if (조건2){ 명령2 } else { 명령3 } 계속해서.. 2020. 9.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