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js22

tree_ui function createTreeView(menu, root) { menu.forEach(function(el){ if (el.children === undefined){ const li = document.createElement('li') root.append(li) li.textContent = el.name } if (el.children !== undefined){ const li = document.createElement('li') const input = document.createElement('input') const span = document.createElement('span') const ul = document.createElement('ul') root.append(li) .. 2020. 11. 19.
JSON Serializer 안녕하세요 오늘은 Serializer 에 대해서 알아 볼껀데요 왜 Serializer가 필요한지에 대해서 한번 생각해볼까요? 저희가 이제 string 타입이나 number 타입 boolean 타입 같은 경우에는 바로 문자열로 만들어 줄수가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말이죠 하지만 객체나 배열 같은 경우에는 어떨까요? 이런식으로 배열 같은 경우에는 괄호( [ ] )가 없어진 형태로 문자열로 바뀌게 되고 객체 같은 경우에는 [object object]라고 나오네요 그렇다면 전체적으로 배열 같은 경우에는 괄호가 삭제 되지 않고 객체 같은 경우에는 object라고 나오지 않게 끔 문자 타입으로 변경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러한 식으로 JSON.stringify(변수) 하신다면 문제 없이 변경 할수 있습니다 하지.. 2020. 11. 19.
코플릿 10번 문제 반복문을 넣어서 풀어보기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0. 10. 28.
개발자 도구로 알아보는 문자타입 숫자형 변환법 & 숫자타입 문자형 변환법 일단 문자 타입 숫자형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일단은 문자타입 숫자를 하나 만들어 봅시다 첫번째 기본적인 숫자형태로 변환 하는 방법은 Number()을 사용해서 변환하는 방법 두번째는 문자타입인 숫자에서 연산자를 앞에 붙여주면 연산을 해서 나오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 같은 경우에는 위와같이 연산처리를 해버리므로 주의해서 사용하는걸 권장 합니다 자 일단은 여기까지 문자 타입 숫자를 숫자타입으로 변환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았구요 다음으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는 숫자타입을 문자형으로 변환 하는 방법입니다 첫번째는 ''에 + 연산을 하여서 문자 타입으로 바꿔주는것 입니다 위와 같이 하시면 바로 문자 타입으로 변화된 모습 입니다 두번째는 바로 String()을 이용해서 변환시.. 2020. 10. 28.
내가 생각하고 있는 함수 내가 생각하기에는 함수는 전체적인 큰 그림의 일부분이다쉽게 말하자면 자동차를 큰 그림이라고 생각해보자면 자동차에는 핸들이 있고 문이 있고 창문이 있고 바퀴가 있을것이다이 부분들이 일부분이고 일부분이 뭉쳐서 하나의 자동차가 나온다결론적으로 말해서 함수는 하나의 작업물을 만들때 여러가지의 함수를 붙이거나 뭉쳐서하나의 작업물이 나오는것이다 2020. 10. 26.
개발자 도구로 알아 보는 변수 일단 let으로 변수 a를 설정해줬다 undefined라고 뜬 이유는 아직 변수 a에 아무것도 대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정의되지 않음이라고 나온다 이번에는 변수 a에 문자 타입의 name을 대입해줬는데 변수 a는 문자 타입의 "name"이 나오는 모습을 볼 수가 있다 이번에는 변수 a에 문자 타입의 Kim을 대입 해줬는데 문자 타입의 name은 없어지고 문자 타입의 Kim이 들어간 모습을 확인 할수가 있다 이번에는 변수선언을 const로 해보았다 그냥 const b로 했을 때는 선언이 불가능하다 그렇기에 변수 b는 숫자 타입의 0 으로 선언을 해보았다 그랬더니 b는 숫자타입의 0이라고 잘 선언된 것을 볼 수가 있다 이번에는 b를 숫자타입의 1로 문자 타입의 name으로 대입을 해보았는데 타입 에러가 나온다.. 2020. 10.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