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js/변수5 개발자 도구로 알아 보는 변수 일단 let으로 변수 a를 설정해줬다 undefined라고 뜬 이유는 아직 변수 a에 아무것도 대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정의되지 않음이라고 나온다 이번에는 변수 a에 문자 타입의 name을 대입해줬는데 변수 a는 문자 타입의 "name"이 나오는 모습을 볼 수가 있다 이번에는 변수 a에 문자 타입의 Kim을 대입 해줬는데 문자 타입의 name은 없어지고 문자 타입의 Kim이 들어간 모습을 확인 할수가 있다 이번에는 변수선언을 const로 해보았다 그냥 const b로 했을 때는 선언이 불가능하다 그렇기에 변수 b는 숫자 타입의 0 으로 선언을 해보았다 그랬더니 b는 숫자타입의 0이라고 잘 선언된 것을 볼 수가 있다 이번에는 b를 숫자타입의 1로 문자 타입의 name으로 대입을 해보았는데 타입 에러가 나온다.. 2020. 10. 26. 문자를 숫자 타입으로 숫자 타입을 문자 타입으로 변경해보자 자 일단 "1"과 1의 차이점을 말해보자 "1"은 문자열로 된 1이고 1은 숫자 열인 1이다 왜 이렇게 나뉘었냐고 프로그래밍으로 밥 벌어먹는 친구에게 물어보니 그렇게 하면 잘못 전송이 될 수도 있거나 프레임 워크 때문에 그렇다는데 그렇구나 라고만 생각하면 될꺼 같다 아무튼 우리는 문자를 숫자타입으로 숫자를 문자 타입으로 바꾸어 보자 문자를 숫자타입으로 바꿔 보는걸 먼저 해보자 Number("1") 이런 식으로 하면 문자열인 1이 숫자열로 바뀌게 된다 예를 1로 든 것뿐이니 다른 숫자도 가능하다 그럼 숫자를 문자 타입으로 바꾸어 보자 String(1) 이런식으로 하면 숫자 열인 1이 문자열 "1"로 바뀌게 된다 문자열 변환은 "" + 1 이렇게도 가능하다 이것 말고도 다른 방법이 있을 거 같은데 나중에 찾.. 2020. 9. 18. 변수에 대입해 계산을 해보자 숫자를 변수에 대입해 계산을 해보자 일단 변수를 만들고 그것을 곱하거나 나누거나 빼거나 더하기를 해보자 let a = 2 * 2; let b = 2 / 2; let c = 2 - 2; let b = 2 + 2; 이런식으로 하면 a라는 변수에는 4가 대입이 되고 b라는 변수에는 1이 대입이 되고 c라는 변수에는 0이 대입이 되고 b라는 변수에는 4가 대입이 된다 물론 컴퓨터는 계산기와는 다르기에 문자도 계산 할수있다 let a = "배" let b = "고" let c = "파" let d = a + b + c 이렇게 한다면 변수 d에는 배고파가 된다 이제 변수 2개를 추가를 하던지 1개를 추가하던지 기존의 변수를 수정을 해서 "배고파 밥줘" 를 콘솔 로그로 띄워 보자 2020. 9. 18. 변수 값 할당해보자 변수 a를 선언한다고 가정을 하자 거기에 이제 값을 할당하려면 = 을 사용을 하면 된다 let a = "apple"; 이런 식으로 작성을 하면 된다 이러면 변수 a에는 문자열 apple이 대입이 된다 여기서 =는 같다는 뜻이 아니고 대입한다는 개념이다 주의하도록 하자 let a = 123; 이런 식으로 숫자 열도 가능하다 이제 할당을 했으니 변수에 값을 할당하면 된다 2020. 9. 18. 변수의 선언해보자 변수의 선언은 3가지가 있다 let , var , const 맨 처음 볼 것은 공통점이다 셋 모두 let a = "apple" ; var b = "bear" ; const c = "cat" ; 이런 식으로 선언을 할 수가 있다 하지만 여기서 주의 해야 할 점은 var는 함수 레벨 스코프고 let , const는 함수 블록 레벨 스코프이다 자세한 건 스코프를 주제로 글을 쓸 때 다룰 것이고 현재로써는 var은 함수 레벨 스코프이고 let과 const는 함수 블록 레벨 스코프 한 것을 알고 있으면 된다 const는 변경이 불가능하고 초기 값을 반드시 지정해야 된다 특정 값을 계속해서 가져갈 것이라면 const를 함수 블록 레벨 스코프를 사용하고 싶다면 let을 함수 레벨 스코프를 사용 하고 싶다면 var를 .. 2020. 9. 1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