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변수
개발자 도구로 알아 보는 변수
호성동쎕쎕이
2020. 10. 26. 16:08
일단 let으로 변수 a를 설정해줬다 undefined라고 뜬 이유는 아직 변수 a에 아무것도 대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정의되지 않음이라고 나온다
이번에는 변수 a에 문자 타입의 name을 대입해줬는데 변수 a는 문자 타입의 "name"이 나오는 모습을 볼 수가 있다
이번에는 변수 a에 문자 타입의 Kim을 대입 해줬는데 문자 타입의 name은 없어지고 문자 타입의 Kim이 들어간
모습을 확인 할수가 있다
이번에는 변수선언을 const로 해보았다 그냥 const b로 했을 때는 선언이 불가능하다 그렇기에
변수 b는 숫자 타입의 0 으로 선언을 해보았다
그랬더니 b는 숫자타입의 0이라고 잘 선언된 것을 볼 수가 있다
이번에는 b를 숫자타입의 1로 문자 타입의 name으로 대입을 해보았는데 타입 에러가 나온다
아! 이것만 봐도 const는 수정 불가능한 변수 선언 방법이구나 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렇기에 const b에 아무것도
대입하지 않고 선언 했을때 왜 선언이 불가능 한지도 파악을 할 수가 있다
요약해서 정리 하자면
let은 수정이 가능한 변수 선언 방법이고
const는 수정이 불가능한 변수 선언 방법이라고 보면 될 것 같다
해당 글에 문제가 있거나 하면 guspooh1@gmail.com으로 문의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